본문 바로가기
경제투자

디파이 Defi 씨파이 CeFi 탈중앙화란 무엇일까?

by 센스노트 2024. 4. 20.
반응형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장이 점차 성장하면서 대중의 관심도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록체인 기술 용어 디파이, 씨파이, 탈중앙화란 무엇인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디파이(Defi)란?

디파이(Defi)는 Dechetralized Finance의 약자로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탈중앙화의 개념은 어떤 것인지 중앙집중식 금융 서비스와 비교해 보겠습니다.

 

우선 신뢰를 보증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은행 사용자가 예금할 때 우리는 은행에 돈이 있는 것을 믿습니다. 은행에서 운영하는 전산 시스템에 예금했다는 증표인 전자 기록을 믿는 것입니다. 보편적으로 은행에 돈을 맡긴 사용자는 확인을 위해 모바일 기기로 잔액을 확인하거나 통장기록을 조회하기도 하는 것이죠.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 간의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반 네트워크가 필요한 것입니다. 중앙화된 특정 기관 없이 네트워크를 신뢰해야 하기 때문에 투명하고 공정한 블록체인 기반을 운영해야 하는 것입니다.

 

대출 서비스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대출 이용자는 은행과 대출 계약을 체결합니다. 고객은 대출금을 받아 사용한 뒤 일정 기간마다 이자와 원금을 상환합니다. 디파이 서비스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이 중앙화 없이 거래를 보증할 수 있지만 금융의 모든 서비스를 반영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 서비스 이행을 적용한 것이 스마트 계약입니다. 계약 당사자 간 협의된 내용을 전자계약 형태로 체결하고, 상호 간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이 실행되도록 서비스를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는데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자동으로 이더리움을 회수하는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는 것이죠.

 

씨파이(CeFi)란?

씨파이(CeFi)는 Centralized Finance의 약자로 기존 중앙화 금융 서비스와 같은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의 가상자산 거래소가 이에 해당합니다. 우리나라는 2013년에 암호화폐 거래소가 생겼습니다. 디파이 서비스로 거래소 역시 은행과 같은 많은 기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를 예치하면 이자를 지급하거나 암호화폐를 담보로 다른 코인을 대출해 주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이죠.

 

기업이나 기관이 비트코인 등의 암호화폐에 투자해 거래소에 예치하고 있다면 이 기능을 수행하고 수수료를 받는 것이죠. 서버나 하드월렛에 직접 보관도 가능하지만 리스크 관리를 위해 대형 거래소에 맡기는 것입니다. 거래소의 금융 서비스는 아직 초창기인 상태로 앞으로 거래소가 많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입니다.

 

해외 거래소에서는 세계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에서 많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큰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에서는 기관, 개인 등 자산수탁 서비스 등을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 나라의 금융규제 등이 점차 풀리면서 많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DID(Decentralized Identify)

분산 신원증명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탈중앙화 인증서비스입니다. 개인의 신원에 대한 인증을 정부나 은행 등 특정 기관이 아닌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해 주는 것입니다. DID는 비대칭 암호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것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사용자는 공증 문서를 DID로 발급받을 수 있는데요. 발행자는 공증 문서에 사설키로 전자서명을 합니다. 공개키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공유해 누구든지 전자서명 발행 정보를 검증할 수 있게 하는 것이죠. 발행자로부터 발급받은 문서를 특정 기관에 제출하면 그 기관은 공개키를 통해 문서의 사실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ID는 신원인증 분야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는데요. 자기주권증명(SSI : Self Sovereign Identify)' 및 '영지식증명(ZKP : Zero Knowledge Proof)'입니다. 자기주권증명은 개인정보 권한을 가지고 있는 인증 역시 직접 가능합니다. DID 방식을 통해 자기주권증명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영지식증명은 보유한 정보공개 범위를 조정하여 진위를 판별하는 방식입니다. 편의점에서 술을 산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보통 성인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증을 보여주는데 주민번호 뒷자리, 주소 등 불필요한 추가 개인정보도 노출되는 것이죠. 암호화된 검증시스템을 통해 성인 여부만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DID 방식에서 가능합니다.

 

개인정보를 QR코드로 만들어 본인 인증 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필요한 정보만을 공개해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업체 및 많은 기업에서 DID 분야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미국 신용카드 회사 비자는 IBM과 협력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확인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습니다. 다른 신용카드 회사 마스터카드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관련 특허를 수십 개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한카드가 블록체인 전문기업과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기로 하였으며, 하나은행은 글로벌 페이먼트 허브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많은 금융기관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과 DID 분야는 미래에 많은 발전이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