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암호화폐4

블록체인과 토큰 이코노미 변화 비트코인 가격이 크게 하락할 때마다 '블록체인의 미래는 없다'라는 기사가 많이 나오는데요. 시장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하락장이 시작되면 하락을 위한 재료는 계속 나오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록체인과 토큰 이코노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블록체인의 가치 비트코인의 가치에 대해 펀드멘탈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하락장에서 여러가지여러 가지 재료에 의해 쉽게 흔들리게 됩니다. 암호화폐 가격이 폭락하는 배경에는 전쟁, 암호화폐 시장의 규제 강화, 채굴업체의 폐업 등 여러 가지 변수가 있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 이슈로 시장의 관심이 최고조에 있는 요즘이지만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죠. 비트코인의 가격이 떨어진다고 해서 블록체인 기술적 가치가 하락하는 것은 아닙니다. 블록체인이 비트코인과 함께 .. 2024. 4. 19.
CBCD가 발행되면 비트코인은 사라지는 걸까? 세계 여러 나라에서 디지털 화폐를 개발하고 발행을 하기 시작하면서 CBCD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앙은행의 디지털 화폐인 CBDC가 발행된다면 비트코인의 가치는 없어지게 되는 것이 아닌지 알아보겠습니다. CBDC의 장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실물 화폐는 이자 발생 기능이 없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CBDC는 화폐 보유자에게 이자 지급이 가능합니다. 기존 실물 화폐 생태계에서는 중앙은행이 시중에 화폐를 공급하려고 할 때에는 채권을 매입하거나 시중은행에 돈을 지급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CBCD 생태계가 구축되어 있다면 중앙은행이 시중에 통화를 공급하고자 한다면 현금 보유자의 지갑에 직접 화폐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생각해 본다면 경제 여건이 좋지 않아 소비.. 2024. 4. 10.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자산 가치 원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상자산의 대표인 비트코인의 의미와 자산 차이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인은 주식처럼 실체가 없는데 투자해도 되냐는 질문을 많이 하는데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법정 화폐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화폐의 가치 한 가지 가정을 해보려고 합니다. 비트코인이 실체가 없는 사기라고 한다면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만원, 5만 원권 지폐는 실체가 있는 것인가요.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즉 대한민국에서 발행한 5만 원의 지폐는 정부에서 가치를 합의했고 우리나라 어디서나 사회적 합의에 따라 5만 원의 가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약속을 정부가 보증해 주는 것이죠. 만약 전쟁 등으로 우리나라 정부가 5만 원권 지폐의 가치를 보증해주지 못한.. 2024. 4. 10.
토큰과 코인의 차이점 암호화폐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 뉴스나 기사를 보게 되면 토큰과 코인에 대해 많이 언급되고 있는데요. 토큰과 코인의 차이점을 알기 위해서는 메인넷(mainnet)이라는 용어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토큰과 코인의 차이점과 암호화폐의 전반적인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인넷이란? 독립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가진 네트워크를 메인넷(mainnet)이라고 합니다. 토큰과 코인의 가장 큰 차이는 해당 네트워크가 독자적인 메인넷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입니다. 메인넷이 구성되어 있으면 코인이라고 정의하고 메인넷이 없으면 토큰으로 정의합니다. 가장 쉽게 접하는 암호화페 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등이 모두 개별적인 메인넷을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입니다. 토큰은 개별적인 메인넷이 없어 메인넷이 구축된 네트워크 생태계를 이용하는 .. 2024. 4. 9.
반응형